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빠른 이사접수가 가능합니다.
전화접수 1588-2402
서비스안내
이사계획이 확정되면 허가업소 중 한곳을 선정하여 견적을 예약한다.
서비스 내용을 꼼꼼히 살핀 후 계약한다. (계약서를 반드시 받아둔다)
20층 이상의 고층거주자 및 건물 특성상 사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관리소에 엘리베이터를 예약한다. (전, 후주소 모두 포함)
각종 우편물 주소변경을 한다.
우체국에 주소 이전 신청한다. (신분증 지참 직접 방문, 또는 우체국 홈페이지 접수 - 공인인증서 필요 3개월 무료 서비스)
전화 및 인터넷 이전 신청한다. (고객센터 KT: 100, SK: 106, LG: 1644-7000)
수도료, 전기료, 기타 공과금 납부 확인한다.
관리소에 이사날짜 통보 및 관리납부내용 발급예약한다.
신문, 우유 및 신문 등 정기 배달 중지요청을 한다.
케이블/유선방송, 위성안테나 이전 혹은 중지 요청한다.
도시가스분리 예약한다 당일 9~10시 분리예약, 설치는 오후4시 정도
이사갈 집을 방문해 도면을 그려온다. (전기콘센트 및 창문위치를 반드시 표기한다)
가구 배치도를 작성한다.
이사업체에 일정을 재확인한다.
귀중품, 현금, 유가증권 등 분실우려되는 물품은 개별포장 후 별도보관한다.
계약서, 인감도장, 등기권리증, 통장 등은 이삿짐과 별도로 관리한다.
중개수수료, 잔금을 준비한다.
냉장고의 남은 음식을 처리한다.
수대형쓰레기봉투(50리터이상) 2~3장 준비한다. (전, 후주소)
관리소에서 관리비 납부 내역 확인서를 받는다.
수도사무국에서 수도료 확인(전화로 가능) 이사나올 때 정산한다.
출발 전 빼놓은 물건이 없는지 확인한다.
이삿짐 반입 확인한다.
이사 최종점검을 한 후 이사비용을 정산한다.
이사 후 14일 이내 동사무소에 전입신고 한다. 이사 전 미리 신고가능함.
지역의료보험 신고 (동사무소)
주택임대차 계약 확정일자를 받는다. (주택임대차 계약서 지참 : 동사무소)
이삿짐 반입 확인한다.
시, 도가 변경된 주소 이전시 자동차 등록 이전은 관할차량등록사업소에서 검사증, 도장, 주민등록증, 차량을 같이 가지고가 변경신청한다.